728x90
1. 시간복잡도: 어떤 알고리즘이 얼마나 걸리는가
1-1. 시간복잡도 구하는 방법:
알고리즘을 구성한 명령어가 실행된 횟수(frequency of calling command or frequency count)+명령어 실행시간(execution time)
1-2. 종류 세 가지:
1) O() - 빅오 : 최악 시간(bad case)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임
실행시간의 상한을 나타냄
2) Ω() - 오메가: 최상 시간(best case)
실행시간의 하한을 나타냄
3) Θ() - 세타: 평균 시간
2. 정렬 알고리즘 정리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제주 알고리즘 베이스캠프 1기 후기(2박 3일) (0) | 2022.10.10 |
---|---|
정렬 알고리즘(퀵 정렬, 배열 정렬, 힙정렬) (0) | 2022.09.06 |
Tree 자료구조 (0) | 2022.08.16 |
재귀함수 알고리즘 문제 풀이(js) (0) | 2022.06.23 |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알고리즘 공부가 미치는 영향 (0) | 2022.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