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1. 종목 선정 기준
- 이미 많이 오른 종목은 제외
- 상한가 추격매수(상따)는 하지 않기
- 단기간 2번 급등한 종목 or 다음날 +10% 이상 상승한 종목은 매수하지 않기
- 주가 5천 원 이하 종목은 피함 — 지저분할 가능성 ↑(아무리 낮아도 2천 원)
- 정배열 종목 중심으로 접근 (이탈 시 단타 종목 아님)
- 역배열 종목은 상승 가능성 낮음
✅ 2. 세력과 흐름 파악
- 세력의 흔적을 탐정처럼 추적(오늘 매수종목 물색하면서 스스로를 탐정이라고 생각이 듦)
- 거래량 급증
- 아직 본격적으로 오르지 않은 종목
- 정배열 + 눌림목 형태에서 매수
- 주도 테마/섹터 파악 능력 강화
- 장 시작 후 테마 형성 흐름 주목
- 대장주 기준: 거래량 + 상승률 모두 높은 종목
- 거래대금 상위 종목 수시 체크
- 키움증권 0700 화면 활용 → 업종분류, 뉴스 키워드 확인
✅ 3. 매수·매도 전략
- 스탑로스 기준을 유연하게 적용
- 무조건 손절보다는 분할 매수/매도 전략 고려
- 스탑로스 직후 급등하는 경우 많음 (ex. 개미 털기 구간)
- 횡보 없는 급등 종목은 피함
- 장 후반에 매수해서 다음날 시세 기대 전략 고려(생각보다 높게 매수할 확률이 낮아서 승률이 높음)
✅ 4. 매매 원칙
- 한 종목만 집중적으로 매매 (선택과 집중)
- 테마가 꺼졌거나 재료 소멸된 종목은 피하기
- 시대정신(사회 분위기, 정책 등)에 맞는 테마 매매
- 기존 테마에서 소외되었던 종목이 뜨면 테마 종료 신호일 수 있음
-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있으면 테마 지속 기간 ↑
❌ 실패 사례: 대주산업
- 사전 분석에선 테마 흐름 + 거래량 괜찮았음
- 하지만 이미 한 차례 급등 후 눌림 구간에서 진입
- 이후 개미털기 구간에서 스탑로스 3%에 매도
- 매도 후 급등 → 상한가 도달
📌 교훈
- 스탑로스 기준이 너무 짧으면 오히려 손해
- 눌림목에서 진입 시 거래량과 흐름 더 꼼꼼히 분석할 것
- 스탑로스 → 분할 매수·매도 전략으로 전환 고려
💭 궁금한 점
- 테마별 대장주는 고정인가?
→ 일정 기간 유지되기도 하나, 거래량과 재료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음
→ 테마별 대장주 리스트 만들어두면 향후 빠른 대응에 유리한지 백테스팅 필요 - 테마 빨리 파악하려면?
→ 뉴스 키워드 + 거래대금 급증 종목 조합
→ 종토방에서 키워드 위주로 보기
'기타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매매일지 - 테마주 선점하자 (2) | 2025.04.22 |
---|---|
오늘의 매매일지 - 설거지 이제 졸업한다 식세기로 간다 (1) | 2025.04.21 |
오늘의 매매일지 - 저가 매수하자 (1) | 2025.04.17 |
주식 테마별 주도주 보는 법 (1) | 2025.04.16 |
상속 이슈 있는 종목은 매수 금지 (0) | 2025.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