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핵심 내용
NFT 거래 상품별로 분류해보면 콜렉터블(Collectible)이 전체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소장가치가 있는 상품을 수집하기 위해 NFT 상품을 거래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인데, 이런 수집의 문화는 사실 엔 터 산업이 확대될 수 있는 배경이었던 팬덤 소비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엔터 산업 내 수집의 문화를 가장 대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음반 판매량이다. 이미 전체 음반 판매량에서 엔터 4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75%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앨범 자체의 소비라기 보다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팬덤 소비의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TV의 별풍선 매출이 매년 20% 씩 성장하는 이유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창작자에 대한 팬심과 충성도가 높기 때문이다.
개별 작품의 흥행이 중요한 게임과는 다르게 팬덤 산업은 아티스트 자체에 대한 애정 어린 소비가 뒷받 침하고 있기 때문에 NFT화 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시작은 포토카드지만 아티스트의 음원, 영상, 오리지널 스토리를 넘어 콘서트 티켓이나 팬미팅 초청권 등 다양한 콘텐츠가 NFT로 드랍될 수 있다.
현재 미디어/엔터 산업은 각 기업이 가지고 있는 IP를 어떻게 디지털 자산화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 을 넘어 사람까지도 디지털화하는, 버츄얼 휴먼에 대한 고민으로 나아가고 있다. 가상의 인물이 실제로 돈을 벌고 가상 아이돌이 데뷔하며 고유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기타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에서의 NFT 알아보기 (2) | 2021.12.13 |
---|---|
매매일지 88~89 (0) | 2021.12.10 |
매매일지 83~87 (2) | 2021.12.08 |
매매일지 79~82 (0) | 2021.12.03 |
매매일지 78 (4) | 2021.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