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경제경영

at&t를 추가 매수해야하는 이유(feat. 미국대선)

by 숙님 2020. 5. 6.
728x90

미국 대선인 11월이 6개월 남았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투자자로서 대응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선 후보는 트럼프와 바이든 후보가 유력하다. 

바이든 후보는 오바마 오랜 측근으로 실질적으로 이번 대선을 트럼프 vs 오바마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한국의 경우 대선후보의 인맥이 가진 회사를 눈여겨보는 이른바 '대선 테마주'라는 것이 유행한다. 

하지만 땅도 넓고 투자자도 많은 미국 투자시장에서는 대선후보 측근 테마주보다는 어떠한 대선후보가 승리하는

상황에서도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광고, 언론사 분야를 주목해야 한다. 

우리나라 후보들은 귀에 잘 들리는 가요를 선거송으로 개사하고, 명함을 나눠주며 거리를 활보하고 다닌다. 

하지만 인구도 많고 땅도 넓은 미국에서의 대선 후보들은 홍보 매체를 활용하여 선거운동을 한다. 

본격적인 후보 홍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온, 오프라인 매체를 통해서 홍보를 하게 된다. 

 

SNS 관련 기업들을 살펴보면,  

페이스북, 구글이 2016년도 미국 대선 광고 수혜기업이다. 

이외에도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하지만,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무단 유출 사건으로 인해 신뢰도 하락을 야기했다. 

유저 이탈을 막으려고 노력 중이지만 효과는 미미했고 현재 리브라 상용화에 몰두하고 있다. 

 

위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가짜 뉴스가 만들어지기 쉬운 SNS보다는 전통매체에 대한 신뢰도 및 선호도가 증가했다. 

유료라는 단점보다 양질의 정보에 대한 니즈가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럼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 할까? 

트럼프는 언론사 비판하기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트럼프가 비판한 언론사는 아마존이 소유하고 있는 워싱턴포스트와 개별 상장한 CNN이 있다.  

개인적으로 트럼프가 재선에서 성공하면 아마존, CNN의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트럼프가 당선되자 아마존의 주가가 하락했었다.(이유는 워싱턴포스트를 보유했기 때문이다.)

방송사, 뉴스, 신문사 부문별로 대표 종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송사 

ABC : 디즈니

CNBC : NBC 유니버설

CBS : 바이어컴 CBS

 

케이블 뉴스 

FOX NEWS: at&t

CNN : 개별 상장 

 

신문사

워싱턴포스트: 아마존

뉴욕타임스: 개별 상장

월스트리트 저널: 뉴스코프

 

위의 신문사들은 구독 기반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에 성공했다. 

구독 시스템으로 탄탄한 수익과 주가 상승을 누리고 있다. 

 

전통매체를 시청, 구독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증가로 향후의 미래도 밝다. 

한국 광고의 주 소비층은 20세에서 49세까지를 뜻하는 2049층, 미국은 2554층을 타깃으로 한다. 

유료 구독에 익숙한 젊은 밀레니얼 세대를 보유한 언론사가 미국 대선을 포함하여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망을 통해서 확인해보았을 때, 

OTT 서비스, 광고 모두 탄탄한 구독 시스템을 바탕으로 주가 상승 및 성장성에 큰 기대를 안고 있는

at&t의 매수 유인이 충분하다고 생각이 든다. 

 

미국 대선이 본격적으로 뉴스에 나오기 전에 미리 매수해야 한다.

꾸준히 at&t를 분할매수를 하면서 주식시장을 관찰할 예정이다.  

전통매체의 귀환이 반갑지만 기대만큼 신뢰적이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지 여부는 지켜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온갖 권력에 휘둘리는 언론이 아닌 공정한 시각으로 시사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지, 양질의 정보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지속하는지를 계속 살펴보아야 한다. 

 

현재 at&t 100주를 넘어 총 108주를 매수했다.  

목표인 1000주의 약 10%를 도달했다. 꾸준히 분할매수, 복리 투자하면서

천주교에 가입하고 자본을 늘려가야겠다. 

'기타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 모니터링(5.6~5.8)  (2) 2020.05.12
05월 12일 (화) 경제 기사 모니터링  (4) 2020.05.12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8) 2020.04.28
재테크란?  (0) 2020.04.27
[탈무드]에 나온 돈에 관한 격언  (4) 2020.04.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