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현명한 퀀트 주식투자 책 리뷰

by 숙님 2022. 3. 4.
728x90

용어설명
백테스트: 자신이 만든 퀀트 전략을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시뮬레이션하는 과정

 

지표들에 대한 각종 환상들 
PBR에 대한 환상- 영원히 저평가 받을 수 있음 
PER에 대한 환상- 주식이 재평가 받는 경우 드뭄
ROE에 대한 환상- 결과는 크게 좋지 않음 
이동평균선- 후행지표 
골든크로스에 대한 환상- 후행신호

과거의 데이터를 가지고 백테스트를 해보면 만족스러운 수익률이 나오지 않음 

 

보조 지표 전략
PER전략
- 재무제표 지표를 활용하여 중장기 퀀트를 만듦
PBR전략
- 매수 종목 선택 우선순위를 PBR로 선택
너무 낮으면 위험하니 0.2이하인 종목 제외
EV/EBITDA 전략
- EV/EBITDA가 작다는 것은 저평가 의미
GP(Gross Profit)/A(Total Assets)전략
- 높을수록 좋은 지표


그린블라트 마법 공식 
- 조건(미국식)
시가총액 5천만 달러 이상
유틸리티 및 금융주 제외
외국 기업 제외
EBIT/EV 계산(EV/EBITDA 역산과 비슷한 개념)
20~30개 순위 높은 기업에 분산 투자
1년에 한 번 리밸런싱
10년 이상 장기 투자 
(한국식)
시가총액 하위 20%
유틸리티 및 금융주 제외
국내 상장 중국 주식 제외
EV/EBITDA 역수 활용
ROC 활용
EV/EBITDA의 역수 순위와 ROC 역수 통합 점수 매김
통합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20종목 매수
250일 유사 리밸런싱 또는 20일 유사 리밸런싱
13년간 장기투자 

마켓타이밍: 

정량적인 지표를 활용, 시장이 일정 정도로 무너지면 보유 종목을 매도, 시장에서 빠져나와 있다가 시장이 회복되면 다시 매수를 재개하여 재참여

11-4전략(할로윈 효과)
11~4월 주식시장이 좋고 5~10월은 좋지 않은 현상 
- 11월 매수 5월 매도 방법
- 11~4월 한달마다 유사 리밸런싱, 5~10월 보유종목매도, 매수하지 않기 

코스닥 20일 이동평균선 마켓타이밍
- 코스닥 지수 종가가 20일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을 때만 매수, 코스닥 종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꺠고 아래로 내려가면 주식 매도 현금보유 

중장기 퀀트 전략 한계: 일봉 백테스트로, 거래량을 고려하지 않음, 거래량이 작으면 매매가 안됨 
즉, 소형주 중장기 퀀트의 경우, 거래 대금이 낮은 종목을 거래하기 때문에 백테스트와 실전 사이에 괴리가 클 수밖에 없다

투자자들의 전략 
1. 윌리엄 오닐(CAN SLIM)
C(current earnings): 현재 주당 분기 순이익
분기 순이익증가율이 25%이상
A(annual earnings): 연간 순이익
연간 순이익증가율이 25%이상, 3년 순이익증가율이 안정적인 기업, 자기자본이익률이 17%이상인 기업
N(new): 신제품, 신고가
신제품, 신경영, 신고가 형성 기업
S(supply and demand): 수요와 공급
유통주식수가 적은 종목 공략, 추후 큰 시세 준다고 믿음
L(leader or laggard): 주도주와 소외주
시장 주도주 삼 
I(institutional sponsorship): 기관 관심주
기관이 관심을 갖는 종목 투자 
M(Market direction): 시장의 방향
보조 지표나 시장 속보 등 전문가의 견해보다 매일 종합주가지수 움직임을 체크하여 시장 움직임을 파악

2. 조엘 그린블라트 마법공식 전략
GP/A등수와 PBR 등수를 합친 등수가 높은 20종목을 매수 

3. 조셉 피오트로스키의 F-SCORE 전략 
- 수익성
전년 당기수익 0이상
전년 영업현금흐름 0이상
ROA 전년 대비 증가
전년 영업현금흐름 순이익보다 높음
- 재무건전성
부채 비율 전년 대비 감소
유동비율 전년 대비 증가
신규 주식발행 전년 없음
- 효율성
매출총이익률 전년 대비 증가
자산회전율 전년 대비 증가 

4. 벤저민그레이엄의 NCAV전략
청산가치가 시가총액보다 높은 주식을 매입
담배꽁초 전략이라고도 불림

5. 피터린치의 PEG전략
GARP(합리적인 가격)로 성장하는 기업을 좋아함, 선별하기 위해 PEG(PER/EPS 증가율)을 사용
PEG가 0.5이하이고, 과거 3년간 EPS 증가율이 25% 이상, 부채 비율은 100% 이하인 종목을 고른 후 최대 20종목을 매수해 1년 주기로 리밸런싱 

6. 데이비드 드레먼의 역발상 투자 전략
- 하위 20%
주가수익률, 주가현금흐름비율, 주가순자산비율
- 상위 20%
배당수익률 
해당하는 종목을 20~40개 매수하여 2~8년 단위로 리밸런싱 
- 시가총액 상위 50%, 유동 비율 100%이상, 부채 비율 하위 50% 이내, ROE 27% 이상 등의 팩터를 통해 소외된 종목에 투자 

7. 윌터슐로스의 투자 전략 
자산 가치에 비해 싸게 거래되는 주식을 매입하여 5년간 보유하는 전략
순운전자본(유동자산-유동부채)이 시가총액 대비 30%이상, 부채비율이 100%미만, 유동 비율은 200% 이상, PBR을 0.8미만
PBR 낮은순으로 최대 50종목 매수
최대 5년 보유, 도중에 100% 상승률일경우 매도 

8. 존 네프의 GYP비율 투자 전략
GYP비율: 당기순이익성장률과 배당수익률을 합친 값을 PER로 나눈 것 
순이익성장률(7~20% 이내인 종목만 투자)만이 아니라 배당수익률도 함께 보는 것

9. 켄 피셔의 PSR(주가매출액비율) 투자 전략
PSR이 0.75 미만인 종목 중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2배 이상 높고 부채 비율은 낮으며 유동 비율이 높은 종목, 최근 연간 순이익률이 5%이상이며, 3년 연속 흑자를 낸 기업 
PSR이 낮은 순으로 최대 50종목 매수, 보유 종목의 PSR이 3을 넘어가면 매도 

운영자금의 문제 해결 방법 
보유일이 5일 미만: 500~1,000만원
10일 정도: 1,000~2,000만 원
20일 정도: 최대 3,000만 원 

 

단타 퀀트 전략
평균 보유일 1~3일
- 추세 전략
- 수급 추세 전략
- 역추세 전략(많이 떨어진거 줍줍)

마켓 타이밍
- 코스닥 지수 종가가 3, 5, 10일 이동평균선보다 각 위에 있으면 매수, 모두 내려가 있으면 매매 쉼

거래대금이 높은 종목만 거래 

상관관계가 낮은 대상에 분산 투자하라

현금 비중, 자산 배분, 전략 분산, 시스템 스톱 및 재가동, 계좌 리스크 관리 잘해야 살아남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