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경제경영

월가 현역 강의 기본편 II: 금융 상품 도구함 6편, 7편

by monicada 2022. 3. 22.
728x90

월가 현역 강의 기본편 II: 금융 상품 도구함 6편 산업 금속, 구리 박사

 

원자재의 장단점
장점:
역사적으로 주식/채권의 움직임과 반대
파산이 위험성이 없는 자산이고 유동성이 많다
경제가 나쁠 때도 상승할 수 있다
정부의 현금 발행으로 인한 구매력 감소를 방어 가능
단점:
이자나 배당의 소득을 창출하지 않음 

원자재는 어떻게 분석하는가?
간단하다. 수요 VS 공급

원자재 투자 방법
1. 해당 원자재를 생산하거나 투자하는 회사의 주식에 투자
(단점: 주식 시장의 움직임에 노출, 경영진의 능력 중요, 재무제표 봐야함)
2. 해당 원자재를 생산하는 국가에 투자(캐나다, 호주, 남아공 등의 주식이나 외환)
3. 원자재가 풍부한 지역이나 국가의 토지, 부동산에 투자
4. 원자재에 투자
- 원자재 현물 ETF
- 원자재 선물 ETF/원자재 선물
- 원자재 옵션
- 원자재 지수 

 

구리: 경기를 민감하게 선도하여 별명이 구리 박사 

- 전선>산업용>교통 및 기타
- 경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구리는 65~70년 내 고갈 추정
- 전망이 꽤 좋은 금속 중 하나 
(인프라 사업, 전기차, 스마트홈)

 

산업 금속
알루미늄, 구리, 납, 니켈, 주석, 아연, 코발트, 철, 기타 다수

 

공부하는 사이트 / 책 
1. CRB Yearbook
- 1939년부터 매년 발간되는 원자재 데이터의 바이블 
https://www.barchart.com/cmdty/resources/crb-yearbook
2. seekingalpha.com

 

월가 현역 강의 기본편 II: 금융 상품 도구함 7편 원자재 지수

테일 리스크 

테일 리스크는 통계상의 정규분포도 양쪽 끝(꼬리) 부분을 뜻하는 것으로 실제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한 번 일어나면 평균값과 차이가 커 엄청난 충격을 줄 수 있는 리스크다.
주식은 Nagatively skewed
엄청 큰 손실이 날 확률이 높음
반면 원자재는 Positively skewed
엄청 큰 이익이 날 확률이 높음 

원자재 수익률이 최근 낮아진 이유
1. 원자재 수요 둔화로 롤오버 비용의 증가 
2. 미국 국채의 제로 금리 
3. 원자재 etf등으로 매수 수요 증가
선물 가격 할인 감소 
4. 디플레 압력 
원자재는 인플레와 완전한 양의 상관관계, 인플레오면 상승 

 

결론: 포트폴리오에 원자재를 넣는 것을 고려하자, 특히 장기투자자의 경우 추천 

- S&P GSCI
- RJI
- ETF: DJC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