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웹 표준에 맞춰 웹 페이지를 작성하면 생기는 장점
1. 유지 보수의 용이성
2. 웹 호환성 확보
3. 검색 효율성 증대
4. 웹 접근성 향상
Semantic HTML
- 정의: 구조를 만드는 것을 넘어 의미를 갖도록 만들기
- 필요성
1. 개발자간 소통
2. 검색 효율성
3. 웹 접근성
- 종류
<header> | 페이지나 요소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머릿말 역할의 요소 |
<nav> | 메뉴, 목차 등 사용되는 요소 |
<aside> | 문서와 연관은 있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내용을 담는 요소 |
<main> | 이름 그대로 문서의 메인이 되는 주요 콘텐츠를 담는 요소 |
<article> | 게시글, 뉴스기사 등 독립적으로 구분해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 |
<section> | 문서의 독립적인 구획을 나타냄, 적합한 의미의 요소가 없을 때 사용 |
<hgroup> |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요소 |
<footer> | 페이지나 요소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꼬릿말 역할의 요소 |
SEO
종류
- on-page SEO
내부에서 진행할 수 있는 seo, 제목과 콘텐츠 등을 이용하는 방법
- off-page SEO
웹사이트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seo, 소셜 미디어 홍보나 백링크 등을 이용하는 방법
'프로그래밍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0) | 2022.07.14 |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0) | 2022.07.11 |
JavaScript React HTTP/네트워크 기술면접 준비 (0) | 2022.06.22 |
Postman with Open API (0) | 2022.06.13 |
[HTTP/네트워크] (0) | 2022.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