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프로젝트

메인 프로젝트 - 기획서, 프로젝트정의서, 화면정의서, 피그마 작성

by 숙님 2022. 9. 16.
728x90

이번 주까지 기획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작업해왔다

거의다 기획 관련 작업 마무리를 했고, 월요일 오전에 API 관련 작업만 더 논의하기로 했다 

완료한 서류는 기획서, 프로젝트 정의서, 화면 정의서, 피그마를 통한 화면 구현 작업이다

 

1. 부트캠프 리뷰 & 커뮤니티 서비스 제작 프로젝트 기획서 

기획서 중 기능별 사용자 권한 요구 관련 사항
ProjectTeam_020_프로젝트_기획서.pdf
11.01MB

기획서에는 주로 기획의도, 제작하는 서비스,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소개로 이루어졌다

 

2.  프로젝트 정의서 

CS_ProjectTeam_020_프로젝트_명세서 - SRS.pdf
0.13MB
정의서 중 커뮤니티에 대한 내용

각 기능별로 화면을 구분하고, 구성할 것을 인터페이스, 기능, 데이터 등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또, 구현의 중요도를 구분하여 먼저 구현하고 나중에 구현할 것들을 정리했다 

 

 

3. 화면 정의서 

먼저, 화면 정의 ID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아이디를 부여했다

팀원 중에 화면 정의 ID의 중요성을 느낀 에피소드를 말해주었는데, 대규모 협업을 할 때에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위해 중요성을 느꼈다고 한다 확실히 '00님, '화면 정의 ID' 수정되셨나요?'라고 하면 의사소통의 정확성이 높아질 듯하다 

그 후 화면 정의서 양식에 맞춰 기입을 하면서 구현할 내용을 화면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메인페이지에 대한 화면정의서
마이페이지 네비게이션바에 대한 화면정의서 중 이미지 설명 파트

각 장 마다 뒤에는 피그마로 구현한 이미지를 추가하여 구성할 때 보기 편하게 작업했다 

 

4. 피그마를 사용한 화면 구현 

메인화면
교육업체 정보란이다- 가시성 높게 수정할 예정이다
캠프별로 1개씩으로 수정할 예정이다

각종 커뮤니티 웹/앱을 확인하면서 팀원들이 생각하는 가장 최적의 UI를 구성했다

물론, 초보라 구현이 다 가능하지 못하고 중간중간 수정을 거치겠지만 고객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보았다 

오늘 회의를 굉장히 오래 했다(오전 9시 반~12시, 오후 3시 반~5시 35분) 역시 기획 파트라 각각 아이디어와 의견이 다양했다 

조율하고 또 조율하는 과정을 거치며 향후 팀원이 더 많아지면 어떻게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았다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구현이 시작한다

오늘 저녁에는 멘토님이 내주신 숙제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한 고민(axios vs graphQL 중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그 이유는?)'에 대한 자료를 더 찾아보고, 팀원들과 합의한 화면들을 어떻게 구현을 할지 더 고민하는 시간을 보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