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코드를 실행하는 파일 만들기
- vscode에서 새 파일을 연다
- 아래의 코드를 파일의 입력창에 입력한다
# %%
- 관련해서 설치하라는 파일이 뜨면 설치한다(vscode에서 설치하라고 함)
2. 원하는 코드 작성
- shift+enter를 쓰면 작성한 단락이 실행되며 동시에 새로운 단락이 생겨난다
3. 출력을 실행하면 옆에 뜸
※ 참고
더블클릭하면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진다
'프로그래밍 > 개발 상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marge conflict commit remove 방법 (0) | 2023.03.22 |
---|---|
[Git] 개발을 하면서 필요한 협업기술 중 git 던전 공략법 후기(feat.깃크라켄) (0) | 2023.03.07 |
github branch생성, 삭제, 협업하는 법(업데이트) (0) | 2023.01.12 |
지메일 안읽은 메일 한꺼번에 삭제하는 코드 및 방법 (0) | 2022.12.16 |
getServerSideProps error: "Reason: undefined cannot be serialized as JSON. Please use null or omit this value all together. 해결 (0) | 2022.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