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경제경영

[증권리포트] 미국 American Jobs Plan, 재확인된 친환경발전 비중 확대 가속화(한화투자증권)

by 숙님 2021. 4. 1.
728x90

1. 바이든 행정부, 인프라 정책안 발표

 

- 美 바이든 행정부가 31일(현지 시간) 2조 달러(약 2,260조 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세부 내용을 발표. 정책안 은 미국이 대면한 가장 큰 문제를 기후 변화와 중국 굴기로 규정하고, 이를 위해 본 인프라 계획을 세웠음을 명시

- 주요 투자 부문에는 교통 인프라 재건/개선 (6,210억 달러), 상수도 인프라 개선 (1,110억 달러) 전력 인프라 활성화 (1,000억 달러), 주택 공급/개조 (2,130억 달러), R&D 및 미래 기술 투자 (1,800억 달러), 미국 제조부문 재활성화 (3,000억 달러) 등이 포함됨

- 정책 발표 이후 미국 내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충전 업체 관련 주가는 Enphase Energy(ENPH) +7.68%, Sunpower (SPWR) +6.12%, Bloom Energy(BE) +7.09%, ChargePoint(CHPT) +18.88% 등 상승세 보임

 

2. 미국 내 친환경발전 비중 확대 가속화

- 기후 변화를 최대 문제점으로 규정한 만큼, 정책 내에서도 탄소 감축 및 친환경에너지 투자에 대한 내용이 정책안 전 반에서 등장. 계획안이 통과된다면 친환경발전원 설치 확대에 대한 정책적 기반이 강화될 것으로 판단. 특히 눈여겨 볼 부분은

▶ 전력 인프라 개선 위해 최소 20GW의 고전압 전력선 설치에 대한 투자세액공제(ITC) 도입 및 민간투 자 활성화,

▶ 친환경에너지 발전/저장에 대한 투자세액공제(ITC), 생산세액공제(PTC) 10년 연장,

▶ 분산형전원, 주 거용/상업/공공 건물 에너지 효율 개조(retrofit) 부문에서의 민간 투자 유도 위한 270억 달러 마중물 투자안 등임

▶ 전기차 시장 1,740억 달러 투자 및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EV charger) 50만 대 설치안도 제시

 

3. 아직 상하원의 허들을 지나야 하겠으나, 방향성은 분명하다

-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업 중에서 미국에 공급 중인 업체들은 친환경에너지 수요 확대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 전망. 그 중에서도 미국 내에 투자를 진행하는 업체나 미국 내 수요처가 확실한 업체들(커버리지 기업 중 씨에스 윈드, 현대일렉트릭)은 직접적인 수혜 가능할 것으로 예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