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경제경영

[월가아재] 주식, FOMO, ESG

by monicada 2022. 3. 16.
728x90

1편. 주식, 지금 살 때인가? 월가 현역이 알려드립니다 [주린이용 영상]

주가가 우상향하는 조건
1. 경제가 꾸준히 성장(중진국형 우상향)
2. 금리가 우하향
3. 통화를 찍어낼 수 있을 것

투자철학을 구분하는 한 가지 방법
1. 시점 선택 철학(마켓 타이밍)
2. 증권 선택 철학 

2편. 나만 주식이 없어서 불안하신가요? 미디어가 조장하는 FOMO에 지지 않는 방법!
fomo의 결과
fomo를 느낀 후 뛰어든다는 것은 이미 막차에 가깝다는 것
추세의 주기: 스마트머니-기관/개인-호구/당나귀-시니컬의 구간 

당신에게 주식 이야기를 하는 자의 동기를 보라
주식 유튜버, 증권사, 애널리스트, 경제 방송
주 목적은 본인 채널의 조회수, 본인 멤버십 가입 수익, 본인 회사 수수료 수입, 광고 수입 

국가 분석의 툴
- 국가 단위 거시 경제 건전성: 인플레, 부채 수준, 금리. 수지 등
- 국가 단위 주식시장 벨류에이션
- 국가 단위 산업 구조
- 리스크: 국가별 리스크 프리미엄 계산하기
- 국제 정세: 국제 정세를 투자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프레임. 예)미중 전쟁으로 인한 수혜 지역은 동남아시아?
- 국내 정세: 국내 정치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예)좌파/우파 정권 집권으로 인한 영향

 

3편. [월가아재]ESG의 허와 실, 그 뒤에 있는 이념전쟁과 이득을 보는 집단 - 오히려 부도덕한 기업에 투자하면 초과수익을 낼 수도 있다?


ESG의 응용
- 본인 도덕 기준에 맞는 ESG테마를 통해 투자 권유
- 재무제표에서 드러나지 않는 리스크(환경 오염 벌금, 불법 행위 기소, 직원 고소) 대비

ESG 비판 1. 객관성의 문제 
반박) 처음에는 불안정하던 신용점수의 안정화 됨

ESG 비판 2. 도덕성과 수익성의 관계 
상관 관계가 인과 관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수익성이 높아 도덕적일 여유가 있을 수도 있다

ESG 비판 3. ESG 투자는 모순적 개념 

백번 양보해서 ESG가 객관적 측정이 가능
도덕적인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면
도덕적이어서 자본조달비용이 낮다면, 즉 싼 값으로 부채와 증자가 가능하다면, 
투자자들에게의 수익도 낮다는 의미. 리스크가 낮고 수익도 낮다

ESG팩터를 통해 초과수익이 가능하냐는, 시장이 그 팩터를 어떻게 프라이싱하느냐에 달림
- 시장이 ESG 팩터를 저평가하고 있다면 > 도덕적 기업을 매수하면 초과수익
- 시장이 ESG 팩터를 적정가치로 평가한다면 > 도덕적 기업은 이미 가격 높고, 초과수익 X
- 시장이 ESG 팩터를 고평가하고 있다면 > 부도덕한 기업을 매수해야 초과수익

ESG 비판 4. ESG는 사회에 좋은가?
기업이 영리 활동이 아닌, 사회적 가치에 신경쓰게 하는 것이 옳은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