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한 지 14년 차, 프로그래밍 강의를 13년 차, 프로그래밍 서적 몇 권을 집필한 경험을 보유하신 멘토님과 커피챗을 오프라인으로 진행했다 정말로 많이 혼나면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조언을 듣고 정리할 수 있었다
0. 이력서 관련
- 우선은 많은 곳에 완성된(이라 쓰고 현재까지 최고 잘한) 이력서 올리기
(추천 사이트: 잡코리아 / 사람인 / 인크루트 / 리멤버/ 프로그래머스 / 원티드 / 링크드인 / 로켓펀치 / 잡플래닛)
-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노션 말고 홈페이지로 이력서를 만들기
자신의 실력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들과의 차별성을 만든다
- 짧은 경력은 이력서에 넣지 말기
기업에게 별로 좋은 이미지를 못 줄 수 있다(예: 1개월 근무 경력 등), 단 결과물이 있다면 기입하는 것을 추천
- 이력서 올릴 때 정장 사진 올리기
개발업계가 자유롭다는 인상이 있지만 첫인상은 깔끔하게 하는 것이 좋다
- (기획자 경력이 있는 나에게) 소통역량이 있다는 것을 어필하라
프론트엔드가 어차피 기획자, 디자이너, 백엔드랑 계속 소통해야 하는 위치이다, 기존의 경험으로 의사소통에 강점이 있다는 것을 어필하라
- 중요도: 이력서 > 깃허브(이력서 불친절하면 깃허브, 블로그 들어가지도 않음)
1. 프로젝트 관련
- 현업에서는 css를 직접 한다
자사 서비스의 안정성을 위해서라도 직접 css를 구현하는 추세이므로 라이브러리 없이 작업을 할 줄 알아야 한다
- 개인프로젝트, 팀프로젝트 많이 하기
특히 개인프로젝트로 실력을 많이 끌어올리기를 추천해 주셨다
-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중 리덕스, 리코일 모두 사용해 보기
리덕스 사용자를 구직시장에서 더 원하나, 리덕스와 리코일을 모두 사용해 보는 것을 추천
- (백엔드) 결제를 직접 구현해 보기
API-아임포트
api.iamport.kr
실제로 결제 서비스를 만드는 건 복잡(사업자 등록증 보유해야 하는 등)하므로 아임포트 api를 활용해서 경험을 쌓아라
2. 깃허브 관련
- 메인 화면 꾸미기
-- 'pin'기능으로 강조하고 싶은 레포지토리를 메인 화면에 넣기
-- 어떤 기능을 구현했고, 내 기여가 어떤지 자세히 설명하기
--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프로젝트를 경험할 수 있는 테스트화면 구현해 놓기
3. 블로그 관련(내 블로그를 보고 말씀하심)
- 블로그가 너무 일반인 블로그 같다(전문성 부족)
- 용어가 일반인스럽다, 개발용어를 더 사용하기
- 태그에 너무 비개발 내용이 많다, 삭제하기
- 다양한 개발지식이 아니라 웹프론트엔드에 대한 전문성으로 어필하기
실무에서는 백엔드, 프론트엔드 중 하나만 하기에도 벅찬 경우가 많다
- 블로그로 회사에 어필하고 싶으면 '개발에 푹 빠져있는' 이미지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형식과 내용에 더 신경 쓰기(일반 상식의 내용을 지양)
4. 면접 관련
- 가고 싶은 회사의 면접 최대한 뒤로 배치, 면접 경험 늘리기
- 면접에서 연봉 관련 물어볼 때는 '조심스러운 태도'로 대하기
- '회사에 대해 궁금한 거 없으세요?'라는 질문
현재 그 회사가 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해 개선사항 지적하는 것도 굿
앞으로의 서비스 확장 방향에 대해서도 물어보는 것도 굿
나와 동일한 스킬을 다루는 사수가 있는지 물어보는 것도 굿(어물쩡 답변하는 곳 거르기)
어떤 장비가 지급되는지 물어보기(장비를 통해 개발자들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 레퍼런스 체크 도와줄 사람 미리 물색해 놓기
요즘 기본이라고 한다, 같은 직종의 사람으로 미리 생각해 놓기
- 나이, 전공여부보다 실력이 중요
5. 코딩테스트 관련
- 프론트엔드라면 js로 준비하기
6. 프로그래밍 언어
- 프론트엔드는 새로운 언어가 계속 나온다
지금도 현업에서는 리액트, 뷰가 옛날 느낌임
그것보다 신세대 언어가 나오는 중
- 백엔드는 코틀린 공부해라
코틀린이 심상치 않다, 대세가 될 조짐이 있다
- 도커, 웹소켓, 웹팩 공부해라
7. CS(Computer science)
- 프론트엔드는 네트워크 중요(http 등)
그러나 우선순위는 프로젝트 > 알고리즘 >= cs이다
프론트엔드 자체가 역사가 안길고 '웹퍼블리셔가 하던 일+백엔드가 하던 일'에서 파생된 직종이다
그래서 채용시장에서는 cs보다는 구현에 더 초점이 있다
8. 앞으로 내가 해야 할 것 정리
- 개인프로젝트 많이 하기
html, css, js, 리코일, 리덕스 등
- 이력서 수정
기획은 기획으로, 개발은 뭘 했는지 구체적으로 작성
여러 곳에 이력서 게시하기
사진 수정(정장 입은 사진으로)
기존 경력 상세히 정리하고 이력서에 넣기
이력서 홈페이지로 만들기(노션이 아니라)
하루에 1시간씩 이력서 검토 or 기업 지원하기
- 깃허브 수정
친절하게 바꾸기
- 블로그 수정
태그 삭제
기술적인 내용 찐하게 넣고자 노력하기
- 자스로 코테 준비
사실 지금 심정은 바로 하기는 어려울 듯하다...(파이썬에 익숙해서)
틈틈이 js로 코테 준비도 해야겠다
'프로그래밍 > 개발 상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UX붕당의 이해 짤 (feat. 코딩, js 등) (0) | 2023.04.28 |
---|---|
pprint(pretty print)이란 (0) | 2023.04.03 |
Github marge conflict commit remove 방법 (0) | 2023.03.22 |
[Git] 개발을 하면서 필요한 협업기술 중 git 던전 공략법 후기(feat.깃크라켄) (0) | 2023.03.07 |
vscode에서 바로 코드를 실행하는 쉬운 방법(# %%)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