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테마주: 증권 시장에 영향을 주는 큰 사건이 일어나면 그 주제와 관련하여 한꺼번에 변동하는 여러 주식을
이르는 말
코로나19 테마주: 마스크, 진단, 백신, 세정 및 방역
종목을 중심으로 한 종목 모음
전체적인 코스피 지수는 하락하는 가운데 코로나 19 관련 테마주는 강한 매수세를 보여주며 주가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급격하게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테마주를 매수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정리했다
[코로나 19 테마주를 매수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1. 코로나와 무관한 회사, 사업 실체가 불분명한 회사가 코로나 테마주로 분류되어 무분별한 매수 투자자는 잘못 매수하는 일이 생긴다
위 사진을 보면 KOSPI, KOSDAQ에 비해 주가 변동률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실제로 체외진단기 생산업체를 자회사를 둔 A사는 코로나 테마주로 분류되어 주가가 단기간 급등하였으나 이후 급락하는 양상을 보여 급등 시 금융감독원의 시장경보 발동(투자주의 종목 지정 4회) 및, 불건전
주문 계좌의 수탁을 거부(수탁거부 2개 계좌) 당했다
2. 코로나 테마주는 예측이 어려워 투자위험이 매우 높다
코로나 관련 테마 여부에 해당한다면 매수하는 전략은 기업의 실적과 무관하다는 위험을 갖고 있다
3. 믿을 수 없는 호재성 공시, 잘못된 정보가 많다
- SNS 정보 공유방 등 확정되지 않은 정보가 많아
특정 세력의 매수 유인에 당하기가 쉽다
[코로나 테마주를 감시하는 금융감독원의 대응]
1.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의 루머단속반을 가동하여 증시 악성루머 모니터링 강화
2. 주식 게시판, SNS, 문자메시지 등 정보유통채널의 허위사실 유포행위 집중 단속
3.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관계기관과 주식매수추천 스팸 데이터 공유, '투자주의 종목' 지정 유형
확대
4. 소량(1~10주)의 분할, 반복 주문을 통해 주식 매매를 유인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할 경우 불공정거래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음(주식 매매 목적이 없는 풍문 유포의 경우에도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로 과징금 부과 가능)
코로나19 테마주의 불공정 매매를 규제하려는 금융감독원의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투자자들은 신중하게 매매를 하여 코로나19 테마주 관련 피해자가 나오지
않았으면 한다
'기타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유가가 마이너스면 한국의 기름값은 공짜인가? (8) | 2020.04.21 |
---|---|
[주식투자] 컴캐스트(Comcast) (4) | 2020.04.20 |
투자의 대가 명언 정리(워런 버핏, 피터 린치, 찰스 멍거) (10) | 2020.04.16 |
"코로나19 개인투자자 증가"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당부(feat. 반대매매) (4) | 2020.04.15 |
배당성장주 vs 고배당주 (8) | 2020.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