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최대 케이블 사업자이며 종합 미디어 기업인 컴캐스트를 매수 여부를 판단하기 앞서서 기업을 조사했다
[기업 소개]
- 미국 최대 케이블 사업자
- 종합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
- 케이블 통시(유료 방송, 통신) 사업
- 지상파/케이블 방송 사업
- 영화 사업
- 테마파크 사업
아마존에서도 테마파크를 진행하고, 디즈니도 유명하다
향후 코로나 19 사태가 진정되면 테마파크에 대한 니즈가 증가할 텐데 테마파크도 갖고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느껴진다
[최고경영진 구성(아래의 사진)]
최고경영진도 알아볼 수 있다
생각한 것보다 더 최고경영진의 나이가 많아서 놀랍다
[특징]
- 유료 방송 사업에서 20% 후반대의 시장점유율 시장의 1~2위 선점
[배당]
- 2008년 이후 매년 꾸준히 증액 중
- 분기 배당으로 매년 1,4,7,10월에 배당
향후 배당 왕에 도전할 만큼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고 있다
[향후 위험요소]
- 코드 커팅 현상 가속화
코드커팅이란 유료 방송 시청자가 가입을 해지하고 인터넷, OTT(Over-The-TOP)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주로 미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로 우리나라에서는 '제로 TV'라고 불린다
- TV 프로그램과 영화 흥행 실패
- 스포츠 중계권 계약 금액 인상
at&t를 꾸준히 매수하고 있어서 통신회사/미디어 회사에 관심이 가는데 현재는 컴캐스트를 매수할 마음은 없다
전 세계에 디즈니 플러스, HBO 등 다양한 OTT 서비스가 출시된 후,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OTT 산업의 1위가 누가 될지 궁금하다
'기타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A(Cash Management Account)란 무엇인가? (6) | 2020.04.22 |
---|---|
국제 유가가 마이너스면 한국의 기름값은 공짜인가? (8) | 2020.04.21 |
코로나 테마주 투자? (feat. 금융감독원) (6) | 2020.04.17 |
투자의 대가 명언 정리(워런 버핏, 피터 린치, 찰스 멍거) (10) | 2020.04.16 |
"코로나19 개인투자자 증가"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당부(feat. 반대매매) (4) | 2020.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