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1

[증권리포트] 공매도는 핑계일 뿐이다(유안타증권) 1. 2020년 +30.7%, 21년 +8.8% 상승한 KOSPI → KOSPI 지수, 지난 13개월 중 12개월 상승 → 공매도가 금지된 작년 3/16일 이후 개인은 75.9조원 순매수 → 개인의 활발한 증시 참여는 증시 상승을 이끈 요인 2. 공매도는 핑계일 뿐이다 → 전일 KOSPI 공매도 거래대금은 8,300억원 → 전일 KOSPI 거래대금은 17조원 → 시총규모, 거래규모의 증가를 고려하면 공매도는 크지 않은 수준 → KOSPI 대비 KOSPI 200의 낙폭이 낮았던 점에 주목 3. Fundamental로 돌아갈 시간 → 결국, 주가를 결정하는 것은 Fundamental → 발표중인 1분기 실적은 대체로 전망치를 상회 → 전망치를 상회한 종목보다는 하회한 종목에 주목 → 좋은 종목을 고르는 것 .. 2021. 5. 4.
[증권리포트] 키움 모닝 레터(키움증권) 2021. 5. 3.
[증권리포트] 글로벌 전략 / Weekly(대신증권) 2021년 글로벌 전략 View [투자환경] 감염병 극복을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 및 재정지출 확대.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위험자산 선호심리 지속. 백신 보급에 따른 자율적인 경기회 복 기대감이 커지며 경제와 기업이익 회복 기대 [투자전략] 바이든 신정부, 과감한 재정정책 강화를 통해 정책 모멘텀 극대화. 상반기 증시가 크게 상승하는 원동력. 하반기 위기 대응으로 견고해진 펀더멘 탈이 불확실성을 이겨내는 장세 도래. 감염병 대응 및 경기 부양 여력 높은 G2, 아시아공업국 선호 [증시경로] 상반기 지속적 상승. 하반기 방향성 상승, 호재와 악재간 힘겨루기 과정 속 일시적 변동성 동반 [선호섹터 및 테마] 성장주(연간)와 가치주(상반기) 양립(60 vs. 40 비중). 미국 신정부 정책 수혜 주목(섹터:.. 2021. 4. 30.
[증권리포트] 4월 FOMC: “No, Not Yet”(메리츠증권) [요약] - 경기판단 개선에도 파월 의장은 아직은 테이퍼링 가이던스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며, 연준 목표로의 상당한 진전에 부합하는 추가적인 개선의 모습을 봐야 한다고 발언 - 3분기 중 테이퍼링 논의를 개시한 이후 추가 경기개선을 관찰하며 의사록 통해 테이퍼링 임박 시사 예상. 테이퍼링 선언은 21년 12월, 시작은 22년 초 전망 [관련 데이터] 2021. 4. 29.
[증권리포트] Global Morning Post(유안타증권) [Korea Market] 1. 전일 증시 동향 (거래소 +0.99%, 코스닥 +0.32%) - 지수는 외국인 중심의 수급으로 다시 3,200pt를 넘어서며 상승 마감. 개인은 외국인의 매수세(3,921억원) 와 달리 매도(3,383억원)로 대응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와 BDI지수가 동반 급등하며 해운 업종(HMM, 대한해운, 팬오션) 동반 급등. 더하여 조선 업종 역시 수주 기대감으로 상승 - 수젠텍(6,650원/+29.95%)은 미 FDA의 코로나19 검사 진단 키트 승인에 상한가. 진단 키트 관련 업종 전반 상승 주도 2. 금일 증시 이슈 - 주중 예정된 미 FOMC에선 완화적인 기조 유지 기대. 테이퍼링 관련 코멘트 주목 필요 - 연일 신고가를 경신 중인 구리가격은 칠레 지역 광산 파업 이슈가 .. 2021. 4. 28.
[증권리포트] 투자전략, 헷갈릴 땐 남들 얘길 들어봐(한화투자증권) Market Maker들은 2분기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현황] 첫째, 성장주는 부진했고 가치주는 꾸준히 강했다. 둘째, 중소형주가 대형주보다 뚜렷한 방향성을 보였다. 셋째, 성장주는 중소형주가 대형주보다 못했고, 가치주는 중소형주가 대형주보다 좋았다. [전망] 첫째, 미국 등 글로벌 경기가 정상화되면서 2분기에 언택트의 모멘텀은 추가로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반도체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자동차용 반도체 부족은 늦어도 하반기에는 해소될 것 같다. 셋째, 인플레이션 압력이 원자재까지 확대돼 소비재 기업들의 마진에 영향을 줄 것이다. 2021. 4. 27.
[증권리포트] 금융여건의 안정과 위험자산선호심리 강화(대신증권) 풍부한 유동성이 뒷받침되는 가운데 글로벌 제조업 생산이 늘어나고, 소비심리 까지 회복되면서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금융시장도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면서 투자자들의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를 높이고 있다. 주요 금리 스 프레드와 변동성 지수를 통해 금융시장의 여건을 판단하는 미국 블룸버그 금융 여건 지수는 1.16으로 2007년 2월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작년, 코로 나19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 국면 직전에 금융여건 지수의 고점이 0.98이었던 것과 비교해보면 현재 금융여건이 상당히 양호한 상황이라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는 회사채 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국채 10 년물 금리 대비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 금리 스프레드는 2.48%.. 2021. 4. 26.
[증권리포트] LG생활건강, 또 한번 100점 받은 1등(대신증권) 1. 기대치를 상회한 1분기 - 2021년 1분기 LG생활건강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2조 367억원(+7% yoy, - 3% qoq), 영업이익은 3,706억원(+11% yoy, +45% qoq)으로 종전 대신증권 추정 영업이익 3,448억원, 컨센서스 영업이익 3,578억원 상회 - 음료, 생활용품은 전년 기저 부담에도 외형 성장, 증익 추세 지속. 음료 부문은 무탄산음료 매출액이 -5% yoy로 부진이 이어졌음에도 탄산음료 매출액이 +5% yoy를 기록하며 음료 전체 매출액은 +2% yoy를 기록했고 제품 믹스 개 선으로 영업이익은 +7% yoy 기록. 생활용품은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로 매 출액, 영업이익 각각 +9%, +2% yoy 기록 2. 기업개요 3. ESG등급 4. Earnings Dri.. 2021. 4. 23.
[증권 리포트] 중국 경제를 삼분안에 임팩트있게(SK증권) IT 가 견인한 3 월 중국 수출 실적, RCEP 의 중요성 대두 3월 지표가 발표된 날 중국은 1 분기 수출입동향을 함께 발표. 분기 수출입 동향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14 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에 대한 무역 성과를 따로 집계하여 발표하였다는 점. 1 분기 對 RCEP 총 교역액은 위안화 기준 2.67 조 위안으로 전체 교역액의 31.5%를 차지하였으며, 전년동기대비 22.9% 증가. 미국의 봉쇄전략을 뚫기 위한 무기, 세계 최대 FTA RCEP 작년 11 월, 15 개국 정상이 RCEP 협정문에 최종 서명하였으나 아직 각국의 의회를 모두 통과하지는 못한 상황.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현재 모든 회원국들이 연말까지 비준해 내년 1 월에 발효를 추진 중. 내수시장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 2021. 4. 15.